국회미래연구원은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정부의 중장기계획은 5~10년 주기로 수립되며 정책의 일관성과 장기적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법정계획임. 이 계획은 정책 비전을 제시하며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구속적 성격을 지님. 하지만 중장기계획의 수가 2019년 534개에서 2022년 679개로 증가하는 등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계획 간 연계성과 정합성이 부족하고 중복과 비효율 문제, 상·하위계획 간 위계 모호성 등 다양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음. 특히, 잦은 정책 변경과 재원 조달 계획 불명확성은 중장기계획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힘. 본 연구는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의 구조와 연계성을 분석하고 주요 정책 분야별 중장기계획의 효과를 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음.
- 본 연구는 보건, 교육, 주택, 고용, 사회보장 등 68개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탐지 분석을 수행하였음. 분석 결과, 고용, 보건, 사회보장, 인구, 주거 분야를 중심으로 주요 커뮤니티가 구성되었으며, 고용정책기본계획,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등이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여 네트워크 내 허브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그러나 네트워크의 응집성이 낮고 파편화가 심각해 효율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주요 사회정책 분야별로 메타평가를 실시한 결과, 지역격차와 소멸위험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맞춤형 정책과 생활인프라 개선이 요구되며,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공공보건의료기관 확대와 디지털 헬스케어 활용이 강조됨. 노인과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보편주의 정책은 일정 부분 불평등 완화 효과를 보였으나, 집단 내부 격차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적인 소득 기반 지원이 필요하다.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해서는 육아휴직제도의 보편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남성 육아휴직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점도 제기되었음.
- 정부 중장기계획 간 중복과 파편화된 연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정 조직의 신설이 필요하며,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책 일관성을 확보해야 함. 또한, 국회는 관련 법률 체계의 정비를 통해 계획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체계성을 확보해야 함. 또한, 정책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 체계를 강화해야 함. 이러한 제도적 개선은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